경쟁 치열한 중국 헬스기구시장, 진출 가능성 있다? 없다?
- 뚜렷한 점유 브랜드 부재 -
- 유통망 확보 및 박람회 참가 통해 점유율 높여야 -
□ 중국 헬스기구시장 진출 타당성 분석
○ 본격적으로 성장 중인 헬스기구시장
- 중국의 헬스산업은 1990년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해 미국이나 유럽 등 헬스산업 강국(1970~80년대)과 비교해 발전이 다소 늦은 편임.
- 현재 중국의 헬스산업은 매년 30%를 웃도는 성장세를 보이지만,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작고 상품 보급률이나 1인당 소비 또한 낮은 상황임.
- 대형 피트니스센터가 들어섬에 따라 단순히 야외에서 춤을 추거나 구기운동 등을 하는 것에서 헬스, 요가, 수영, 방송댄스 등 다양한 운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증가함.
- 해외 유명 브랜드와 자국 브랜드의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며 초기 발달과정을 지나 전문화돼가는 과도기
- 산업이 이미 성숙기인 북아메리카, 유럽, 홍콩에 비해 발달 정도가 여전히 크게 못 미치는 수준
GDP 선진국의 헬스기구 수입량
(단위: 백만 달러)

중국의 주요 헬스기구 수입국
(단위: 백만 달러)

관세: 12%, 부가가치세 17%
자료원: KITA 통계
○ 도시화로 중국인 건강 상태 심각
- 통계에 따르면, 중국인의 60% 이상이 '아건강'상태이며, 대도시는 수치가 더욱 심각
- 아건강(亚健康; YAJIANKANG): '병은 없지만 몸이 좋지 않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 상태'의 의미로 중국정부에 의해 세계에 공표된 신조어
- 환경오염,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, 잘못된 식습관, 운동부족 등 도시화로 인한 생활 환경악화가 주요 원인
- 따라서, 건강 의식 제고와 함께 신체를 단련하려는 국민이 증가
□ 중국 헬스산업의 문제점
○ 국제시장에서 헬스기구의 60%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지만 기본적으로 OEM 및 ODM 방식의 외국 브랜드 위탁생산이며, 자국 브랜드는 기술 수준이 아직 해외제품을 모방하는 단계에 머물러 상품 연구와 개발 속도도 현저히 뒤떨어짐.
○ 헬스기구 이용의 대중성 미확보
- 일반적으로 헬스클럽 및 대형 피트니스센터의 이용료 높음.
- 아직까지 헬스 운동이 일종의 유행 또는 사교의 영역으로 인지됨.
- 판매 대리점은 규모가 작고 품목이 적어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좁으며, 체계적인 서비스와 전문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음.
○ 주로 대리상을 포함해 직영 공장이나 도매상이 동부 연안에 몰려있어, 중서부 내륙지역에서 해외 브랜드 제품을 수입・구매할 경우 높은 물류원가 때문에 가격에 부담이 가중됨.
□ 시사점
○ 한국 기업에는 기회
-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시장 점유율 집중현상이 떨어지며, 아직 뚜렷한 점유 브랜드가 없다는 것은 한국 브랜드도 진입할 기회가 있음을 의미함.
- 중국 내 대・소규모 판매망 네트워크를 고루 갖춘 대형 바이어와 협력을 맺는 등 유통 전략을 세워야 함.
-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디자인이나 기능, 내구성 등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. 바이어들은 미국・유럽 제품보다 가격 경쟁력이 양호한 한국 제품에 관심을 보일 것임.
청두 시내 헬스클럽의 한국 제품


자료원: 자체 촬영
주요 헬스기구 대리업체
업체명
|
소재지
|
협력 브랜드
|
悦生活
www.360well.cn
|
상하이(본점)
|
STEX, Technogym 등
|
巍得健身器材有限公司 www.shweide.com
|
상하이(본점),청두, 쿤밍 등
|
PRECOR
|
上海遂生健身
www.vmsfit.com
|
상하이(본점), 베이징, 선전
|
Life Fitness, Power Plate 등
|
南京奥发体育用品有限公司
www.aofa88.com
|
난징
|
BH, Star Trac, ICON 등
|
中国体科健集团
www.tk.net.cn
|
베이징
|
Nautilus, Life Fitness 등
|
Future Fitness
www.futurefitness.com.cn
|
상하이
|
CYBEX, PRECOR
|
力健康体科技公司
www.lifefit.cn
|
베이징(본점), 청두 등
|
Nautilus, BOWFLEX 등
|
奥力来集团
www.active.cn
|
베이징(본점), 청두 등
|
STAR TRAC, PARAMOUNT 등
|
兆本健康
www.zhaobensports.com
|
상하이
|
BH, JOHNSON, TREK 등
|
乐健体育
www.enjoyfitness.cn
|
상하이, 항저우 등
|
Technogym, JOHNSON 등
|
자료원: 중국젠션왕(中国健身网), 바이두
○ 매년 국제 헬스기구 박람회가 성황리에 개최됨.
- 매년 열리는 박람회에서 한국 제품의 우수성을 적극 홍보하고 브랜드를 각인시켜야 함.
2013년 개최 예정 주요 국제 헬스기구 박람회
박람회명
|
북경 스포츠용품 박람회
2013 中国国际体育用品展览会(2013 China Sport Show)
|
개최 기간
|
2013년 5월 31일~6월 3일
|
개최 장소
|
中国国际展览中心(New China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Beijing)
|
전시 품목
|
각종 헬스기구, 스포츠 의류, 레저용품 등
|
공식 사이트
|
sportshow.com.cn
|
• 아시아-태평양 최대규모 박람회, 1000여 기업, 3000여 개 브랜드 참가, 15만 명 참관
|
박람회명
|
칭다오 국제 레포츠, 헬스, 스포츠 용품 박람회
2013 中国国际休闲运动、健身器材及体育用品展览会
China International Leisure Sports, Fitness Equipment and sporting goods Fair
|
개최 기간
|
2013년 6월 8일~6월 10일
|
개최 장소
|
青岛市国际会展中心(Qingdao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)
|
전시 품목
|
각종 헬스기구, 스포츠 의류, 헬스장 설비 등
|
공식 사이트
|
www.cifese.com
|
박람회명
|
상하이 국제 스포츠 및 헬스용품 박람회
2013 上海国际运动及健身器材展览会
The 2013 China Shanghai Sports International Fitness Equipment Expo
|
개최 기간
|
2013년 8월 26일~8월 28일
|
개최 장소
|
上海世贸商城(Shanghai Mart)
|
전시 품목
|
각종 헬스기구, 안마기구, 헬스장 설비 등
|
대표 사이트
|
www.jsqcexpo.com
|
자료원: 바이두
자료원: 중국 헬스기구 포털(健身器材网), 중국 헬스 포털(中国健身网), 중국 보건 포털(中国保健网, KITA 통계, 바이두, 코트라 청두 무역관 자체자료
댓글
댓글 쓰기